* [ 은수저 ]
[작가소개]
[본문해설]
산이 저문다. 노을이 잠긴다. 저문다, 잠긴다 - 하강, 소멸의 이미지(아이의 죽음 상징) 저녁 밥상에 아기가 없다. 아기의 죽음을 암시 아기 앉던 방석에 한 쌍의 은수저 아기를 상징, 수복강녕의 의미 - 더 큰 처절한 절망감 은수저 끝에 눈물이 고인다. 아기를 잃은 슬픔 , 아버지의 비통한 심정을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시어 ▶ 은수저에 고인 눈물 한 밤중에 바람이 분다. 이승과 저승이 가까워지는 분위기 바람 속에서 아기가 웃는다. 환상 아기는 방 속을 들여다 본다. 들창을 열었다 다시 닫는다. ▶ 아기에 대한 아버지의 환상 먼 들길을 아기가 간다. 저승 맨발 벗은 아기가 울면서 간다. 죽은 아기에 대한 애틋한 심정 불러도 대답이 없다. 그림자마저 아른거린다. 이승과 저승의 거리감 ▶ 아기를 잃은 아버지의 안타깝고 비통한 심정 『문학』(1946)
[작품개관] ◈ 갈래 : 자유시, 서정시 ◈ 성격 : 사색적, 상징적 ◈ 시상의 전개 * 제1연 - 은수저에 고인 눈물 * 제2연 - 애기에 대한 환상 * 제3연 - 안타까운 부정(父情) ◈ 심상 : 시각적 (→죽은 아이의 심상 : 은수저, 그림자) , 청각적 ◈ 표현 : ① 아이를 잃은 슬픔을 간결한 시어로, 간접적으로, 아주 담담하게 표현하고 있다. ② '눈물'이라는 말이 한 번 나왔을 뿐, 감정을 절제함으로써 오히려 슬픔을 아름답게 승화시키고, 더 큰 감동을 준다. ③ 모든 시행이 서술 종결형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아기를 잃었다는 것이 돌이킬 수 없는 사실임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 소재 : 은수저 ◈ 시어의 상징 의미 * 은수저 - 애기를 상징 ․ 죽은 아이의 심상 : 은수저, 그림자 ◈ 어조 : 사랑하는 자식을 잃은 비통한 심경을 절제하는 어조 ◈ 주제 : 아기를 잃은 부정(父情) 아이의 부재(不在)와 슬픔 ↓ 아이에 대한 그리움(아이의 환영) ↓ 서정적 자아의 상실감(환영의 사라짐) 1연 : 은수저에 고인 눈물 - 아기의 죽음 2연 : 애기에 대한 환상 - 슬픔과 아기의 영상 3연 : 사라져 가는 아기의 영상 - 안타까운 부정(父情)
[이해와 감상] 이미지즘 경향의 회화적 수법을 앞세운 이전의 시들과는 확연히 구분되는 김광균의 이 시는 자식 잃은 아버지의 뜨거운 부정(父情)을 잘 드러내 주고 있다. 이 점에서 이 시는 해방공간의 정치성 짙은 시들과는 달리 김광균의 시적 관심사가 다시 시인의 내면의 문제로 돌아가고 있음을 보여 준다. 이 시는 두 번째 시집 『기항지』에 수록되어 있지만, 후기 작품에 속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기항지』 발문에 '내 나이 스물 여섯부터 서른까지의 것'이라고 기록된 것을 참고한다면, 이 시는 예전의 시와는 전혀 다른 경향의 작품으로 서른 이후에 창작된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추보식 구성의 이 시는 화자인 아버지가 저녁을 먹으며 아이의 부재를 확인하는 것에서부터 한밤중에 만난 죽은 아이의 환영과 죽음의 세계로 떠나는 아이의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한편, 이 시는 자식을 잃은 아버지의 슬픔을 노래하고 있는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비통한 심경을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시어는 '눈물' 하나밖에는 없다. 그러나 간결한 3연의 구성과 단문으로 행을 마감한 시 형식 속에는 자식을 그리워하며 피눈물을 흘리는 아버지의 아픔이 흠뻑 배어 있음을 느낄 수 있다. 1연은 화자가 저녁 식사 시간에 아이의 죽음을 확인하는 모습이다. 저녁 식사 시간, 화자는 문득 아이가 없음을 깨닫는다. 정말 죽은 것이 아니라, 잠깐 어디를 간 것이라고 믿어 왔지만, 저녁 밥상을 받고 아이의 빈 자리를 보며 그제서야 아이의 죽음을 인정하게 된다. 그리고는 아이의 방석에 놓인 주인 없는 '은수저'를 보며 화자는 눈물을 흘린다. '저무는 산'과 '잠기는 노을'은 하강·소멸의 이미지로서 아이의 죽음을 상징하며, 아기를 '애기'로 표현한 것에서 더 짙은 아버지의 정을 느낄 수 있다. 은수저는 '수복강녕(壽福康寧)'을 빌며 그가 아이의 돌잔치 때 선물한 것인지도 모른다. 그러기에 화자는 그 은수저에서 더 깊은 절망감을 느끼는 것이다. '은수저'에서 '애기'를 떠올리고, 다시 그것은 '부정(父情)'으로 확대됨에 따라 마침내 '은수저 끝에 눈물이 고인다.' 2연은 한밤중에 화자가 아이의 환영(幻影)을 만나는 모습이다. 아이에 대한 그리움으로 잠을 이루지 못하는 화자는 들창을 열고 바람 부는 창밖을 바라보고 있다. 그러던 중, 불어 오는 바람과 함께 어디선가 방실방실 웃으며 방안을 들여다 보는 아이의 환영을 만나게 된다. 그러나 화자가 반가와하기도 전에, 아이는 벌써 문을 닫고 총총히 사라져 버린다. 3연은 아이가 죽음의 세계로 떠나가는 모습이다. 화자는 '먼 들길'로 제시된 죽음의 세계로 '맨발 벗은' 채 울면서 가고 있는 '애기'를 목메어 부르지만, 아이는 '불러도 대답이 없'고 '그림자마저 아른거'릴 뿐이다. 천진난만한 모습이었던 2연의 '애기'가 3연에 와서는 사자(死者)의 모습으로 바뀌어 나타나 있다. 아무리 목메어 부르며 그리워하더라도 이젠 더 이상 이 곳 이승의 세계에서는 존재할 수 없는 아이임을 인정하고 깊은 절망 속으로 빠져드는 데서 진한 육친애를 느낄 수 있다. 정지용의 <유리창>과 동일한 소재를 다룬 작품이지만, <유리창>보다 화자의 감정이 보다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으며, 별다른 수사적 기교 없이 평이한 서술로 아픔을 토로하고 있다. 하늘이 무너지는 것 같은 아픔이지만, 그것을 절제하고 여과하는 시인의 인간적 성숙도를 짐작할 수 있다.
[알아두기]
[생각키우기]
[확인문제] 1. 이 시의 흐름으로 보아 대립적 의미의 시어끼리 묶인 것을 고르시오. ① 산 - 노을 ② 들창 - 그림자 ③ 애기 - 은수저 ④ 노을 - 눈물 ⑤ 방 속 - 먼 들길
2. 다음 중 함축하고 있는 정서적 의미가 이 작품의 주제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을 고르시오. ① 노을이 잠긴다. ② 은수저 끝에 눈물이 고인다. ③ 바람 속에서 애기가 웃는다. ④ 들창을 열었다 다시 닫는다. ⑤ 그림자마저 아른거린다.
3. 상실의 이미지로 보기 어려운 것을 고르시오. ① 노을 ② 은수저 ③ 바람 ④ 방 ⑤ 그림자
4. '들창을 열었다 다시 닫는다'에 함축된 화자의 심리상의 변화를 적절히 간추린 것을 고르시오. ① 교감(交感)에서 단절(斷絶)로 ② 기대(期待)에서 좌절(挫折)로 ③ 환각(幻覺)에서 현실(現實)로 ④ 희망(希望)에서 낙망(落望)으로 ⑤ 외면(外面)에서 내면(內面)으로
5. '유리창(정지용)', '은수저(김광균)'는 자식을 잃은 슬픔을 노래한 시이다. 다음 중, 죽은 아이의 영상과 무관한 것을 고르시오. ① '유리창'의 별 ② '유리창'의 산새 ③ '은수저'의 노을 ④ '은수저'의 은수저 ⑤ '은수저'의 그림자
6. '들창을 열었다 다시 닫는다'와 가장 가까운 의미를 담은 시행을 '유리창(정지용)'에서 찾으시오. ① 유리(琉璃)에 차고 슬픈 것이 어른거린다. ② 지우고 보고 지우고 보아도 ③ 새까만 밤이 밀려나가고 밀려와 부딪히고, ④ 물먹은 별이 반짝, 보석처럼 박힌다. ⑤ 고운 폐혈관(肺血管)이 찢어진 채로
7. '유리창(정지용)', '은수저(김광균)'를 읽고 나올 수 있는 반응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① 혈육의 정은 끊을래야 끊을 수 없다. ② 과거의 아픈 추억도 아름답게 승화될 수 있다. ③ 인생을 살아가는 과정은 죽음과의 투쟁과도 같다. ④ 사랑하는 대상이 사라졌을 때 한없는 비애를 느낀다. ⑤ 자신의 정서가 구체적인 사물을 통해 표현될 때 절실한 느낌을 준다.
8. '유리창(정지용)'과 '은수저(김광균)'는 모두 죽은 아들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하고 있다. 이 두 편의 시에서 시인의 감정을 드러내는 방식의 차이점을 간단히 쓰라.
<정답 및 해설>
1. ⑤. 방 속 : 현세의 공간, 먼 들길 : 들창에 의해 구분되는 죽은 자의 세계
2. ① ① : 배경. 분위기 조성. ②,③,④,⑤ : 슬픔, 그리움 함축
3. ④
4. ③ 그러나 화자에게 아이에 관한 환영은 다시 계속된다
5. ③ '노을'은 시의 정서적 배경
6. ② 죽은 아이가 다시 살아서 돌아올 듯한 환상에 사로잡힌 애틋한 아버지의 이중적 심리를 담고 있다.
7. ③
8. 전자는 상징적 비유에 의해 슬픔을 극도로 억제하려고 노력하려고 있지만 후자에서는 슬픈 감정이 별다른 수사적 장치 없이 직접적으로 묘사되고 있다.
[기출문제]
[실전문제] -첨부파일 참조-
[보충심화]
[참고자료]
|